자동차 기름 주유 경고등 들어온 후 달릴수있는 거리
저는 자차를 거이 이용하지않기때문에 기름을 넣을일이 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보았던게 네칸정도 남아있었는데요. 문득 주유 경고등이 들어온 후 얼마나 달릴수있을까 궁금하더라구요.
주유소가 없는곳에서 달리는 중 경고등이 뜬다면 어떻게 해야하나 불안감이 몰려올텐데요. 주유등이 들어오고 얼마나 더 달릴수있는지 미리 알아둔다면, 주유등이 들어와도 불안해하지않고 침착하게 행동하겠죠? 지금부터 자동차 기름 주유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유 경고등은 연료저장고에 남은 연료양을 센서가 측정하여 일정 양의 이하일때 점등이된다고 해요. 소형차는 약 6L, 중형차는 약 9L, 대형차는 약 12L가 남았을때 주유경고등이 켜지고, LPG 가스차량은 약 10%정도 남았을때 켜진다고 합니다.
주유 경고등이 들어오고 몇분뒤에 바로 서버리는것이 아니라, 얼마 남지않았으니 충전을 해주셔야합니다 하며 경고등이 들어오는것이라고 해요. 하지만 가끔가다 주유 경고등이 켜졌다가 꺼졌다가 반복된다면, 주행중 연료가 출렁거려 센서에 닿았다, 닿지않았다 하기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센서가 고장나서 지속적으로 이렇지않는이상 걱정하지않으셔도 된다고해요.
자동차 기름 경고등이 들어오고 얼마나 더 주행할수있나요?
계기판에 표시되는 주행 가능거리는 남은 기름의 양과 연비를 곱한 결과라고 합니다. 중형차 연료가 9L 가 남게되면 주유등에 불이 들어오는데요. 자동차 연비를 10km/l로 가정하고 남은 연료의 양과 연비를 곱하면 주행거리가 나온다고 합니다.
9L X 10km/l = 90km
위와같은 공식으로 중형차에 주유등에 불이들어온 경우, 약 90km를 더 달릴수있다는 말이지요. 하지만 예시일뿐 무게나 속도에 차가 영향을 받기에 차에 탑승된 인원이 많거나, 짐이 많이 실려있거나, 고속주행인 경우 주행가능거리는 더욱 짧아진다고 합니다.
위 사진은 중 경고등이 들어온 후 얼마정도 주행이 가능한지 나타난 표입니다. 쉐보레, 기아, 현대, 르노삼성 중 인기있는 모델들인 말리부, k5, 쏘렌토, 싼타페, 카니발, 아반테, 그랜저, 투싼, 쏘나타, SM6들이 보이는데요. 최소 주행가능거리인 말리부는 53km, 최대 주행가능거리인 르노삼성 SM6은 무려 77km나 주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외 토요타, 렉서스, 랜드로버, 포드, 벤츠, 아우디, BMW, 혼다, 토요타의 인기있는 모델들도 비교를 해보았는데요. 주유경고등은 비슷한 타이밍에 들어오며 최소 주행가능거리인 토요타는 51km, 최대 주행가능거리인 토요타 프리우스는 무려 92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고 해요.
오늘은 자동차 기름 주유 경고등이 들어온 후 달릴수있는 거리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궁금증이 해소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