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분실물센터 이용방법 안내
지하철에서 물건을 두고 내려보신적 한번쯤 있으신가요? 지하철을 이용시 스마트폰으로 이것저것 하다보면 스마트폰에 집중이되어 가방이나 물건을 두고 지하철에서 내리는 경우가 생일때도 있습니다. 그럴때 지하철 분실물센터 이용방법을 알아두시면 두고내린 물건을 찾을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평소에 자주 물건을 잃어버리는 분이시라면 미리 대처방법을 알아두시는것이 좋습니다. 지하철 분실물센터 이용방법은 서울, 대구, 부산, 전국이 거이 동일하다고 해요. 우선 서울지하철 분실물센터 이용방법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 지하철은 최근 서울교통공사로 홈페이지가 통합되어 이전내용으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달라진점은 크게 없다고 합니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운영하고있는 지하철 구간별 유실물센터가 위치한 역 안내입니다. 1호선과 2호선은 시청역에 위치하고있고, 3호선과 4호선은 충무로역에서 유실물센터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5호선과 8호선은 왕십리역, 6호선 7호선은 태릉입구역이고 9호선은 동작역에 위치하고있습니다.
유실물센터가 처리되는 과정인데요. 습득된유실물은 각 역에서 전산입력 후 다음날 오후 3시까지 인계센터로 인계가 된다고 해요.
약 1주동안 홈페이지에서 게시 후 경찰서로 넘겨지면 6개월동안 로스트112에 게시되며, 이후 페기를 하거나 사회복지단체에 양여가된다고 합니다.
보산도 지하철과 경전철 각각 유실물센터를 운영하고있는데요. 부산지하철의 경우에는 유실물센터가 서면역이 위치하고있다고 합니다.
부산경전철은 오전 9시 - 오후 6시 사이의 운영시간에는 보관소에서 연락이 가능하고, 이후 대사역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고 해요.
부산 지하철 유실물센터의 경우도 습득물에 대하여 다음날 10시이후에는 습득역에서 유실물 서비스센터로 이관되어 1주 - 2주정도 보관 중 주인이 나타나지않으면 경찰청으로 인계가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지하철 분실물센터 이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궁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