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손실보전금 600만원 :: 실내 적정 습도 안내
반응형

실내 적정 습도 안내







실내 적정습도를 지키시는분이 얼마나될까요? 저도 지금까지 적정습도를 지키지않아왔는데요. 습도는 인체에도 영향을 많이 끼치기때문에 습도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조절할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적절한 습도는 40 - 60으로 계절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해요. 그럼 지금부터 계절별 실내 적정습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이가 뚜렷한 계절인 여름의경우 실내적정습도는 40 - 60이라고 합니다. 겨울일때50 - 60정도라고 해요. 실내가 건조할때 가습기사용을 추천드리지만, 가습기가없다면 실내에 빨래를 널어두거나 집 곳곳 그릇에 물을채워 두는것이 좋다고해요. 


그리고 실내에서 식물을 기르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잎이 넓은 식물일수록 잎을통해 증발하는 수분량이 많기에 실내습도를 올리는것을 도와준다고 해요. 



오전 10시 - 오후 4시 사이에 대기이동이 활발하므로 이때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는것이 실내 습도 상승에 도움을준다고 합니다. 





반대로 여름철,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높아질때에는 제습기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여름장마철에는 습도가 80% 이상까지 올라가게된다고 해요. 제습기가 없을때에는 탈취효과에 좋다고 알려진 숯, 신문지 등을 이용하는것이 좋습니다. 



건조할때도 식물을 기르는것이 도움이 많이된다고 해요. 식물 잎을통해 수분도 배출하지만, 반대로 공기중의 수분을 빨아드리기도 한다고 해요. 


습도조절을위하여 식물을 기르시게된다면, 한곳에 모아두지마시고 분산하여 기르는것이 좋다고합니다. 식물의 증산작용으로 인하여 실내온도가 떨어지는 효과도 볼수있으니 여름에는 식물을 기르는것이 그렇게 좋다고 합니다.


그외에도 향초를 피우거나, 커피가루 등을 그릇에담아 집 곳곳에 두어도 습도를 낮추는것을 도와준다고 해요. 오늘은 실내 적정 습도에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