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손실보전금 600만원 ::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
반응형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







최근 울산 동구 땅꺼짐으로 이슈가 된적이 있었는데요.  바로 제가 살고있는 동네라 깜짝 놀랬습니다. 처음에는 또 조작이겠지 싶었는데 뉴스에까지 나오고 난리가 났더라구요. 





싱크홀은 다른나라에서만 일어나는 일인줄알았는데 우리나라, 제가 살고있는 동네에서 싱크홀이라니요?! 싱크홀은 영어로 'sink hole' 말 그대로 가라앉아 생기는 구멍이라고 합니다. 싱크홀의 크기와 모양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고해요. 



뉴스기사나 교과서에서 많이 본 2010년 7월 과테말라시 한가운데에 건물 20층높이만한 구멍이 생긴것을 한번쯤 보셨을텐데요. 그 자리에있던 3층건물이 아무흔적도없이 사라져서 전 세계가 난리가 난 적이 있었습니다. 정부에서는 '도시개발로 지하수가 말라 지반이 무너져내린것' 이라고 밝혔는데요. 3년전인 2007년 4월 같은 과테말라시에서 깊이100m 구멍이 생겨 20채의 집이 빨려들어가 3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다른나라 싱크홀처럼 거대한 싱크홀들은 크기가 우리나라와 비교할수도없을만큼 어마어마한데요. 베네수엘라 해발 2000m 사리사리나마 싱크홀은 지름과 깊이가 350m에 이르는 완벽한 구형을 띈 여러개의 구멍이 연속적으로 나있다고 합니다. 싱크홀은 땅에서만 생기나요? 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이런 거대한 싱크홀은 산과 들, 바다 어느곳이든 나타날수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싱크홀은 이에비하면 작은편에 속하는데요. 싱크홀은 땅 속에서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생기는것이라고 합니다. 땅 속의 지층 등이 어긋나며 균열이 나있는 균열대가있는데 이곳을 지하수가 채웠다가 사라지면 빈 공간이생겨 땅이 주저앉는것이 바로 싱크홀이라고 합니다. 


싱크홀은 퇴적암이 많은 지역에 깊고 크게생기기때문에 화강암층과 편마암층으로 이루어져있는 우리나라에는 공간이 잘 생기지않기때문에 커다란 싱크홀이 생기지않는다고 해요. 



우리나라의 싱크홀도 마찬가지로 지하수때문에 생기는것이라고 합니다. 지하수를 많이 끌어다쓰게되면 지하수위가 낮아져 지하수가 감당하던 압력을 땅 속의 빈공간이 받아 지표가 무너져 싱크홀이 만들어지는것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지나치게 지하수를 뽑아다쓰는것을 '과잉양수'라고 불린다고 해요. 


하지만 과잉양수 뿐만 아니라 지하수가 잘 흘러도 싱크홀이 생길수있다고 합니다. 지하수가 흐를때 모래나 돌 등이 함께 흘러 지하수가 흐르는 구멍을 깎아내어 지하수길이 침식되 커지기때문에 싱크홀이 생길수도있다고 해요. 





오늘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궁금증이 해소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